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UTP 케이블의 종류와 스트레이트/크로스 방식 완전 정리

by sh3333 2025. 5. 14.

UTP 케이블의 종류부터 스트레이트와 크로스 방식, 그리고 색 배열 규칙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한 네트워크 초보 필수 가이드입니다.

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부품 중 하나가 바로 UTP 케이블입니다. 이더넷 기반의 데이터 통신에서 거의 표준처럼 사용되는 UTP 케이블은 단순해 보이지만 종류와 배선 방식에 따라 성능과 호환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특히, 스트레이트 방식과 크로스 방식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면 장비 간 연결에서 혼란을 줄이고, 문제 해결도 빨라집니다.

 

이번 포스트에서는 UTP 케이블의 구조와 종류, 그리고 스트레이트/크로스 방식의 차이와 적용 사례까지 실무 중심으로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
 

 

UTP 케이블이란?

UTP(Unshielded Twisted Pair) 케이블은 말 그대로 차폐(Shield)가 없는 꼬임선으로,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구리선입니다. 주로 컴퓨터 네트워크(LAN), VoIP, IP 카메라, 공유기 등 다양한 장비 간 통신에 사용됩니다. 각 쌍의 선을 서로 꼬아 외부 전자파 간섭(EMI)을 최소화하며, 케이블 길이는 일반적으로 최대 100m까지 허용됩니다.

UTP 케이블 종류별 비교 (카테고리 기준)

분류 명칭 최대 속도 최대 거리 주요 용도
CAT5 Category 5 100Mbps 100m 구형 네트워크
CAT5e Enhanced CAT5 1Gbps 100m 일반 사무실, CCTV
CAT6 Category 6 10Gbps (55m) 100m (1Gbps 기준) 고속 네트워크
CAT6a Augmented CAT6 10Gbps 100m 데이터센터
CAT7 Category 7 10Gbps 100m 고주파 간섭 환경
CAT8 Category 8 25~40Gbps 30m 서버, 스토리지

 

 

스트레이트 케이블 vs 크로스 케이블

스트레이트 케이블

스트레이트(Straight-through) 방식은 케이블 양쪽 끝의 핀 배열이 동일한 배선 방식입니다. 일반적으로 PC → 스위치, IP 카메라 → NVR과 같은 장치 간 연결에 사용되며, 오늘날 대부분의 네트워크 연결은 스트레이트 방식으로 구성됩니다.

 

UTP 케이블의 종류와 속도, 최대 거리, 그리고 스트레이트 및 크로스 배선 방식을 시각적으로 설명한 교육용 다이어그램. 한국어로 표기된 케이블 분류표와 배선 색상 배열이 함께 제시되어 있다.

크로스 케이블

크로스(Crossover) 방식은 송신선(TX)과 수신선(RX)을 서로 교차 연결하는 방식입니다. 과거에는 PC ↔ PC 또는 스위치 ↔ 스위치 같은 동종 장비를 직접 연결할 때 필요했지만, 최근에는 대부분의 장비가 Auto MDI/MDI-X 기능을 지원하여 크로스 여부를 자동으로 인식합니다.

케이블 색상 배열 (T568A vs T568B)

UTP 케이블의 8가닥은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배열됩니다.

핀 번호 T568A T568B
1 흰-초록 흰-주황
2 초록 주황
3 흰-주황 흰-초록
4 파랑 파랑
5 흰-파랑 흰-파랑
6 주황 초록
7 흰-갈색 흰-갈색
8 갈색 갈색

스트레이트 케이블: 양쪽 모두 T568A 또는 T568B로 동일하게
크로스 케이블: 한쪽 T568A, 다른쪽 T568B

 

 

실무에서의 적용 예시

  • 공유기 ↔ PC: 스트레이트
  • PoE 스위치 ↔ IP 카메라: 스트레이트
  • PC ↔ PC: 예전엔 크로스, 요즘은 스트레이트도 OK (Auto MDI/MDI-X)
  • 스위치 ↔ 스위치: 구형은 크로스, 최신 장비는 스트레이트도 호환

자주 묻는 질문

  • Q. CAT6과 CAT6a는 무조건 CAT6a가 좋나요?
    → 아니요. CAT6는 짧은 거리에서는 충분한 속도와 경제성 제공. CAT6a는 고속 환경에 적합하나 두껍고 가격이 비쌈.
  • Q. T568A와 T568B 중 어떤 표준을 써야 하나요?
    → 국내는 T568B가 일반적. 한 시스템에서는 동일 방식으로 통일하는 것이 중요.
  • Q. Auto MDI/MDI-X 기능이 없는 장비에서 스트레이트만 쓰면 연결 안 되나요?
    → 그렇습니다. 이 경우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중간에 스위치를 경유해야 합니다.

 

 

UTP 케이블은 네트워크 구성의 가장 기초이지만, 그 배선 방식과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연결이 되지 않거나 비효율적인 구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트에서 설명한 UTP 케이블의 종류, 스트레이트와 크로스 방식의 차이, 그리고 색상 배열 규칙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실무나 가정 내 설치에서도 훨씬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.